Surprise Me!

[경제읽기] '구두개입'에도 환율 오름세…한국 경제 영향은?

2022-08-24 4 Dailymotion

[경제읽기] '구두개입'에도 환율 오름세…한국 경제 영향은?<br /><br /><br />원·달러 환율이 1,340원을 넘어서는 등 연일 거침없이 상승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와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에 나섰지만,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그렇지 않아도 고물가와 싸우고 있는 우리 경제에 어떤 변수가 될지, 급등 배경은 무엇인지 김광석 한양대학교 겸임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달러화 초강세로 원·달러 환율이 1,345원을 넘으며 올해 최고치를 또 경신했습니다. 지금도 1,340원 선을 오르내리고 있는데 왜 이렇게 오르는 건가요?<br /><br /> 고환율을 잡기 위해 대통령과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에 나섰지만, 상승세는 여전한 상황입니다. 고공행진 하는 원·달러 환율이 물가 등 우리 경제에 미칠 여파는 어떨까요?<br /><br /> 당장 이번 주 열리는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 수위에 따라 강달러 지속 여부가 결정될 텐데 어떤 이야기가 나올 거라 예상하십니까? 시장에서는 환율이 1,400원까지도 오를 수 있다고 우려하는데 정점은 대체 어디일까요?<br /><br /> 내일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데요. 0.25%P 올리는 베이비스텝을 밟을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빅스텝을 단행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는데 불안한 원·달러 환율과 고물가가 복병이 되진 않을까요?<br /><br /> 한은이 발표할 수정경제전망도 관심입니다. 현재 4.5%인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%대까지 높일 거란 예상이 나오는데 실제로 올해 5%대 상승률이 현실로 나타나면 24년 만에 최고 기록인데 어떤 의미가 있나요?<br /><br /> 한국과 중국이 오늘로 수교 30주년을 맞이했습니다. 1992년 수교 당시 64억 달러에 불과했던 한중 교역 규모는 지난해 3,015억 달러로 47배 증가하는 등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는데요. 지난 30년간 한중 수교 성과,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이처럼 중국이 우리나라 1위 교역대상국이지만 최근 대중 무역적자가 늘어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반도체와 공급망 등으로 신냉전이 되고 있는 미·중 전략경쟁으로 한중 관계가 변곡점에 섰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. 여러 갈등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 우리가 절충점을 어떻게 찾아야 한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